소소한 일상
남 얘기 그만하자, 이제
도라다녀
2021. 1. 29. 09:59
사람들이 남 얘기를 하느라 너무 바쁘다. |
시댁 사람들, 가족들, 친구들, 회사사장, 회사사장아들, 그 밖의 한다리 건너에 있는 동서의 친구라든가 |
내 아이의 친구라든가, 암튼 남 얘기들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 같다. |
이런 이야기들을 듣는 것도 하루 이틀이지 이런 내용이 주가 되면 나는 너무 힘들다. |
그만하라는 말이 이빨까지 나왔는데 참고 또 참는다. |
가끔 다른 화제를 바꿔 대화 내용을 돌려보지만 그때 뿐이고 또 언제든 남 얘기는 돌아온다. |
왜 그렇게 남 얘기에 미치도록 집중하는 것일까 |
그게 그렇게 재밌는 것일까. |
어쩌다가 진짜 열 받는 것만 가끔 하면 될 것 같은데, |
습관처럼 이어지는 이런 남 얘기는 듣고 있기가 정말 힘들다. |
그러다보니 이렇게 남얘기를 주로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은 |
주로 칭찬일리가 없고 흠을 이야기하거나 대부분 그 사람에 대한 별로 안 좋은 내용이다. |
신기한 것은 그 인물이 주기적으로 등장하여 마주 볼 수 있는 테이블만 있으면 |
그 이야기의 대상은 그 테이블에 바로 올라가게 된다. |
사람마다 각각 자기 에너지를 얻는 방법이 다르다고 한다. |
어떤 사람은 조용히 자신의 일에 집중하며 에너지를 얻는 사람이 있는 반면 |
꾸준히 입으로 상대방과 수다를 떨어야 에너지를 얻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
어떤 방식으로든 본인의 에너지를 얻는 것은 상관이 없다. |
굳이 대화의 주제를 남 욕을 하는데 다 써버리는게 너무 부질없고 의미없다는 것이다. |
그럼으로 인해 본인에게 얻어지는 게 있는가 |
마음속 찌꺼기로 가득했던 마음이 조금은 털어지기는 하겠으나 |
내가 보기엔 그것은 터는 것이 아니라 내 영혼에 더 먼지를 얹는 격이다. |
그리고 애꿎은 남한테까지 피곤하게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다. |
바로 나라는 피해자가 발생한다. |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내 처지가 이러이러하게 억울한 상황에 놓이게 되어 |
어떤 연민을 갖게 되거나 공감도를 얻고자 한다면 그것은 참으로 잘 못된 접근 방법이다. |
그러지 않았으면 한다. |
좋은 점을 보려고 노력하고 자기 객관화를 시켜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해 보면 어떨까. |
왜 나는 이런 걸 상대에게 말하지 못하고 왜 나에게 쓰고 있는가. |
참말로 난 이것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모양이다. |
어떻게 살면서 안 좋은 일만 있나. |
분명 좋았던 일도 있도 있었을텐데 그런 것들은 쏙 빼고 |
안 좋았던 일, 불편했던 일, 억울했던 일만 쏟아낸다. |
난 좋은 일도, 따뜻한 감정을 느꼈던 일들도 너무나 듣고 싶은데 그게 그렇게 어려운 것일까 |
안 좋은 이야기만 하기 때문에 그 사람 주변사람들은 다 이상한 사람들이구나 라는 |
부정적인 선입견을 갖게 된다. |
그래서 그 사람이 주변 이야기를 시작 하려하면 |
'아, 또 이번엔 그 이상한 사람이 어떤 또라이 짓을 했기에' 이런 생각부터 든다. |
그 사람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 주변에는 다 성격 안 좋은 사람만 있고, |
다 이상한 사람만 있는 것처럼 들린다. 분명 그렇지 않을텐데, 안타깝다. |
많은 다른 시간들을 본인의 일에 집중하며 취미 생활을 즐기고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면 |
참 좋을 것 같은데, 내가 남의 인생에 오지랖을 피우는 것 같다 차마 말을 못하고 |
피곤함만 쌓여 간다. |
무조건 긍정을 하라는 얘기가 아니라 역지사지하며 생각해보며 |
타인을 조금이나마 이해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
그렇지 못할 경우는 타인과 나를 구분하며 생각해야 할 것 같다. |
타인의 문제이지 내 문제가 아닌 경우도 많으므로 내가 그 갈등의 상황까지 |
고스란히 받아들일 이유도 내 삶에 개입할 이유도 없다. |
결국 엄밀히 따지면 가족도, 친구도, 가까운 지인도 타인이다. |
함께 해야하니 어쩔수 없는건 없는거고, 다르게 생각함이 틀린 것이 아니니 |
서로의 생각과 판단을 존중해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