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게 읽었다. 이 글을 읽고 감상평을 적는 일이 참으로 난감하다.
왜냐하면, 주제에 맞지 않는 나의 일화가 자꾸만 떠올라서 이다.
나도 고등학교 때 교련시간이라는 것이 있었다.
남녀 공학이라 남자아이들은 교련복을 입고 운동장에 나가 가짜 총을 들고
단체 군무 같은 것을 하고, 여자 아이들은 전쟁이 났을 때 부상자를 치료하기 위한
간호 기술인지 뭔지 교실에서 붕대감기를 배웠었다.
당시 내 짝은 지금도 친하게 지내는 김태희라는 친구인데 서로 머리에 붕대를 감아주며
교련 시간을 보냈다. 교련선생님이 나에게 아주 잘 감았다며 모델 김태희를 교탁 앞으로
불러다가 모든 아이들에게 설명을 해주었는데 뜬금없는 손재주를 보인 나 자신에게
놀라는 순간이었다. 사실 내가 손재주가 있기도 하지만 김태희 머리가 동글동글해서
붕대감기가 수월했던 것이지 붕대감기에 특별난 재주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당시는 왜 이런 걸 하지, 라는 생각도 못하고 선배들도 해왔으니깐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제도에 수동적으로 부응하며 살았던 것 같다.
많은 아이들이 그랬듯이 주입식 교육에 진로에 대한 고민을 깊게 하지 않고
무조건 대학만 가고 본다는 심정으로 꽃다운 십대를 보냈다.
지금 생각해보면 나는 십대 때 하고 싶은 말을, 하고 싶은 행동을 제대로 해 본적이 없다.
늘 감정이나 행동이 억압되어 있었다.
하고 싶은 말이 입 밖으로 잘 나오지 않았고 하고 싶은 행동은 자꾸만 나를 말렸다.
지금의 생각으로 그 시절을 다시 산다면 십대의 완벽한 사계절을 다 즐길 수 있을까.
오히려 난 십대가 지난 지금의 나이에 더 밝은 마음을 가지고 사는 것 같다.
이 마음에는 십대부터 사십 대까지의 모든 심정이 포함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독후감을 쓰려 했는데 어쩌다 보니 나의 옛날 이야기가 되어버렸네.
붕대감기에서 나오는 다른 시선 ㅋㅋ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울 때마다 엄마 얼굴이 된다. – 이슬아 (0) | 2021.10.01 |
---|---|
글의 품격 - 이기주 (0) | 2021.09.03 |
일상愛쓰다 - 정은선, 신재호, 윤정, 안은비, 김진선, 이흐름 (0) | 2021.08.27 |
사랑은 내 시간을 기꺼이 건네주는 것이다 – 이기주 (0) | 2021.08.25 |
15°미묘한 차이 – 김하나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