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의 삶에 어디까지 관여해야 부모로서 올바른 것일까. |
요즘 자주 드는 생각중에 하나이다. |
공부? 성격? 습관? 친구관계? 진학? 더 나아가 취업? 결혼? 출산? |
나는 어렸을때 부모님으로부터 그렇게 간섭 안 받고 자라서인지 |
오히려 좀 딱 정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혼자서 많은 선택과 방황을 했다. |
공부는 어떻게 하는지 몰랐고, 인간관계는 어떻게 가져야 하는지, |
내 적성이 뭔지, 학교는 어디로 진학해야 하는 건지도 너무나 다 막연했다. |
적성이 전공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또 전공과 다른 직업을 선택해서 직장을 다니고 있으며 |
우야부야 만난 남자와 지금껏 애 하나 낳고 그럭저럭 살고 있다. |
그러고 보니 인과 관계가 하나도 없다. |
아무리 부모의 영향을 안 받았다고 해도 서른 몇 해동안 부모님과 살면서 무의식적으로 |
알게 모르게 생활 습관이나 생각이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었겠지. |
강요는 없지만 무의식중에 발현되는 행동 패턴들, 사고들, 생활습관, 관념들.. |
그러나 나는 요즘 대놓고 자식에게 내 의견을 피력하고 이래야 한다 |
저래야 한다를 반복하고 있다. |
내가 잘하고 있는것인지, 잘 못하고 있는것인지 누가 좀 판단해주면 좋겠다. |
어느 날은 선을 넘어 말도 안되는 유치함을 뽐내는 억지 발언을 하기도 하고 |
아이를 이겨 보겠다고 되도 않는 똥고집을 피울때도 있다. |
진짜 바닥이다. |
부모로서 자격이 없다고 자책도 많이 한다. |
부모자격시험이 있다면 난 당연히 탈락일 것이다. |
부모로서 어디까지 이 아이를 케어하고 컨트롤 해야 하는지 답이 없다. |
나는 어떤 노력으로 이 부모산을 넘어 갈 수 있을까. |
어떤 배낭을 매고 어떤 등산화를 신고 어떤 리듬으로 이 산을 잘 넘어 갈 수 있을까. |
소소한 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