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누구보다 그 가족이 잘 되기를 바래왔고 원했다. |
예전에 같이 캠핑을 하게 될 때 그 가족에게서 난 참 많은 위로를 받았다. |
장애가 있는 아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완전체인 가족의 모습을 내게 보여줬고 |
그 누구보다 건강하게 살고 있으며 불평불만 많아 갈등을 일으키는 가족보다 백배 낫다고 |
가늠해서는 안되는 잣대를 내세워 그들이 우리 가족보다 행복할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도 했었다. |
요즘 버릇없는 아이들보다는 참 예의도 바르고 생각도 이쁘고 주관도 있다고 |
나는 그렇게 키울수 없을거라고 생각하며 그 부모님 참 대단하다 내심 존경도 해왔었다. |
그 아이의 이름은 석주, |
태어나면서부터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내가 짐작도 할 수 없는 고통과 기쁨을 가지고 세상에 온 아이, |
내 나이 사십중반을 넘어 만난 그 아이는 한없이 바르고 맑고 순수하고 그 누구보다 건강했다. |
몸과 정신이 또래보다 덜 자라 유아기적 사고를 가지고 있지만 |
부모와 동생을 생각하는 마음이나, 남에 대한 배려는 이기적인 어른인 나보다 낫다라고 생각했다. |
자신의 이야기를 조근조근 설명해 나가고 남과 함께 뭐든 공유하려는 마음, 이쁘다고 생각했다. |
그런데 그 아이도 아이인지라 아이들이 가지는 속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건 어쩔 수 없다. |
잘 안 씻어서 나는 냄새라든가, 많이 먹겠다고 덤비는 식탐, 놀고 싶어 어른 아이 자리 안 가리고 |
나서는 모습, 뭔가 자신이 이루어낸 것을 자랑하고픈 마음, 일상을 얘기하고 싶은 욕구. |
그 아이는 그렇게 세상에 자신의 존재감을 한없이 드러내고자 했다. |
세상의 편견과 선입견에 많이 시달렸을 법한데 그런 것에 비해 자존감이 높고 |
자신을 많이 사랑하는 아이였다. 그래서 내가 그 아이를 다른 시선으로 보게 된 것일테다. |
나도 처음 경험하는 것이라, 다가오면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라 서투른 내색을 하기 싫어 |
좋은 어른인 척, 세상의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은 좋은 사람인양 말하고 행동했다. |
그건 진정한 내가 아니였다. 그냥 비겁하고 졸렬한 어른이 되면 안 된다는 어려서부터 배워온 |
도덕적인 가치관에 의거한 의무의 성격을 띈 말과 행동이였다. |
그런데, 그렇게 해서 좋은 어른이 되고 마음에 거스르는 게 없으면 된 것일텐데, |
마음과는 다른 나의 말과 행동은 나에게는 거짓이 되는 것이였다. |
그렇게 해야 한다는 내 마음을 쏙 빼서 얘기하면. |
'나는 네가 내곁에 안 왔으면 좋겠어. 와도 잠깐 있다 가면 좋겠어' |
'그 더러운 발로 우리 텐트에 안 들어 왔음 좋겠어, 제발' |
'그렇게 많이 안 먹었으면 좋겠어, 그렇게 막 흘리고 먹지 말아줘' |
'난 너보다 다른 사람하고 더 많이 말하고 싶어' |
'난 사실 네가 하는 말의 뜻을 다 알아 듣진 못해' |
그러나 마음과 반대로 이야기하며 그 아이에게 부응하질 못할 잔인한 기대를 주었다. |
내가 나빴다. 아이들은 괜히 어른에게 치대거나 기대는게 아니다. |
그 아이의 상처는 내가 이 기대에 응답하지 않으므로 인해 깊어질 것이다. |
처음부터 난 정해놓고 이 아이를 대했는지도 모르겠다. |
이런 마음을 나 아닌 다른 사람이 겪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
이 아이는 또 얼마나 반복된 상처를 받게 될까. |
그런것이 반복된다고 그때마다 받는 상처가 익숙해지진 않을테다.
|
미안하다.석주야. 내가 이것밖에 안 되는 사람이라서. |
아이를 키우는 사람으로 나의 그릇이 이 모양 사이즈인걸, 더는 키울수 없는거였나봐. |
내가 너를 응원한다는 것도 가식인걸 안다. |
굳이 이제와 변명이라도 한다면 구체적이지 않은 응원은 안하는게 낫다고, |
그냥 난 이제 너를 보게될 때 그냥 최선을 다하련다. |
지킬수 없는 먼 약속은 네게 할 수 없다. |
더는 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