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후감

어른의 말투 - 김범준

말버릇을 바꾸는 습관 완벽 마스터

 

실천 1 - 내 목소리를 들어 보세요

             상대방에게 양해를 구하고 대화를 녹음해서 내 말투를 객관적으로 들어 보면 문제점을 알 수 있습니다.

실천 2 - 목소리의 톤과 볼륨을 낮춰 보세요

             주변 상황을 고려해 목소리 톤과 크기를 조절합니다. 낮은 목소리는 신뢰감을 줍니다.

실천 3 - 말의 속도를 줄여 보세요

             말의 속도는 곧 배려심입니다.

             호흡을 조절하고, 문장을 짧게 나눠 말하면서 문장과 문장 사이에 간격을 두세요.

             강조하고 싶은 단어에서 속도를 늦추거나 너무 빨라질 때는 중간에 물을 한 모금

             마시면 도움이 됩니다.

실천 4 - 웃을 때도 품격을 생각하세요

            웃을 때는 상황과 장소를 고려하고, 배려하는 마음, 진심을 담습니다.

실천 5 -  부정어를 긍정어로 바꿔 보세요

             긍정어는 내면의 성숙함을 보여 주는 동시에 인생을 바꿀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언어 습관입니다.

실천 6 -  말하기보다는 듣는 시간을 늘려 보세요

             듣기만 잘해도 대화는 성공합니다. 대화의 주인공이 되려는 욕심을 내려 놓을 때

             진정한 소통이 시작됩니다.

실천 7 - 일상의 말투와 일터의 말투를 분리하세요

             조직에는 조직의 말투가 있습니다. 조직에서 성공하려면 일상과 분리해

             조직의 말투를 익힐 필요가 있습니다.

 

말하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기억해야 할 7가지 팁

 

실천 8 - 의견을 말하는 데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필요한 순간에 말하지 못 하는 건 기회를 놓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내 의견을 말하기 어렵다면 타인의 의견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말문을 열어 보세요.

실천 9 - 스몰토크로 긴장을 풀어주세요

            원하는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적당한 스트레스는 관계를 유연하게 만듭니다.

            단, 너무 사적이고 예민한 대화는 피해야 합니다.

실천10 - 단어 선택에 항상 유의하세요

             어떤 단어를 사용하는지가 그 사람의 인격을 나타냅니다. 비속어나 유행어 사용은 

              가급적 자제하고, 단어의 의미를 생각하며 말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실천11 - 말을 간결하게 줄여 보세요

             말을 간결하게 하려고 노력하다 보면 핵심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2분 안에 의견을 발표하는 NASA의 엘리베이터 스피치를 연습해 보세요.

실천12 - 나에게도 남에게도 웃어 주세요

             표정도 언어가 됩니다. 웃는 연습은 내 감정에도 타인을 향한 감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웃어 보세요.

실천13 - 누군가의 생각을 바꾸고 싶다면 먼저 존중하세요

             인식-이해-수용-협의-칭찬, 존중의 5단계를 대화에 적용하면 상대의 생각을

             바꿔 원하는 것을 얻어 낼 수 있습니다.

실천14 - 감사를 자주 표현하세요

             주위 사람들에게 항상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나긋나긋, 조곤조곤 말하는 사람은

             모두의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서로가 기분 상하지 않게 조언하는 최상의 방법

 

실천15 - 조언을 할 때는 애정을 담아주세요

             누군가를 위해 하는 조언이 듣는 이에게는 듣기 싫은 잔소리일 수 있습니다.

             잔소리와 아닌 것의 차이는 진심 어린 애정에 있음을 기억하세요.

실천16 - 거친 말투라도 진정성을 담아 주세요

             모든 사람이 나긋나긋한 말투를 가질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거친 말투여도

             그 말에 진정성이 담기면 진심은 통하는 법입니다.

실천17 - 지적할 때일수록 정중하게 말해 주세요

             늘 좋은 말만 할 수는 없습니다. 상대의 발전을 위해 문제 행동을 이야기해줘야

             하는 순간도 있습니다. 그럴 때일수록 감정을 배제하고 정중하게 대하세요.

실천18 - 지적하는 순간에도 상처 주는 말은 금물입니다.

             '화가 나면 무슨 말인들 못 하냐'는 사람이 돼서는 안 됩니다. 

              그런 순간일수록 치명적인 상처를 남기기 쉬우니 주의하세요.

실천19 - 마음을 구체적으로 말하는 연습을 하세요

             외부의 자극에 순간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먼저 마음을 들여다보세요.

             그리고 마음의 상태를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설명하세요.

 

쑥스러움을 극복하고 어른으로 말하기

 

실천20 -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면 존경이 따라옵니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데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어른의 사과는 굴욕이 아닌 존경받을 만한 행동입니다.

             진정한 사과는 사과-인정-약속의 3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실천21 - 리더쉽은 칭찬에서 나옵니다

             상대방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고 싶을 때 칭찬만큼 좋은 방법이 없습니다.

             칭찬은 구체적으로, 진심을 담아,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합니다.

             긍정-부정 = 5:1 비율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부정적인 말을 했다면

             그에 다섯배로 칭찬하세요.

실천22 - 부탁할 땐 나를 낮추고, 거절할 땐 상대를 높이세요

             부탁하기 전에 상대방의 현재 상황이 어떤지 먼저 고려하세요.

             기분 나쁘지 않게 거절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겸손'  '대안'  '보류'를 기억하세요.

실천23 - 먼저 감사를 표하면 반드시 돌아옵니다.

             주변에 늘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표현하는 일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진심으로 하는 감사가 아니더라도 인사처럼 감사를 표현해 주세요.

             세상은 좀 더 훈훈해지고, 내 마음에도 감사가 생깁니다.

 

이성으로 생각하고 감성으로 말하는 법

 

 

실천24 - 말은 적게 하되 소탈하고 품격 있는 언어를 사용하세요

             많은 말을 하고, 대화를 나눴다고 가까워지는 건 아닙니다.

             사람들은 소탈하고 품격 있는 말투를 구사하는 사람에게 끌립니다.

실천25 - 나와 다른 의견도 하나의 의견으로 인정해 주세요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은 어디에나 있기 마련입니다.

             차이가 있기에 세상은 더 풍요로워진다는 걸 기억하고 나와 다른 의견을 존중해 주세요.

실천26 - 진정으로 이해하고 공감한다면 선을 넘지 마세요

             현대인들에게는 자기만의 영역이 필요합니다.

             함부로 판단하기보다는 그 사람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그 영역을 지켜 주세요.

실천27 - 내 언어 환경을 관리하세요

             관계는 대화로 이뤄지기 때문에 언어는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줍니다.

             언어 환경을 관리하는 방법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는 스스로 관리하는 방법으로

             말투 일기를 추천합니다. 둘째는 주변 환경을 정화하는 방법으로 유해한 SNS을 

              끊으세요. 셋째는 언어 멘토를 찾고 따라 해 보는 것입니다.

실천28 - 대화를 공감으로 시작하세요

             "아! 그렇구나!"하는 공감의 한마디가 대화의 흐름을 유연하게 바꿉니다.

실천29 - 해결책을 제시하기 전에 괜찮다고 말해 주세요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게는 괜찮다는 위로의 말을 먼저 해 주는 게 좋아요.

             해결책을 함께 찾아 주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해결책은 마음이 단단해지면

              스스로도 찾을 수 있어요. 정말 필요한 건 위로일 때가 많습니다.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 - 태수  (0) 2025.01.16
행복의 기원 - 서은국  (0) 2025.01.07
토마토 컵라면 - 차정은  (0) 2024.12.31
인간이 그리는 무늬 : 욕망하는 인문적 통찰의 힘  (0) 2024.12.18
흰 - 한강  (0)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