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
이 책 역시 수정언니의 추천으로 읽게 된 책인데 첨에는 사적인 편지를 읽는 느낌이라 |
웬지 그랬는데 읽다 보니 시인이 따로 없고 사물과 현상에 대하여 쓰신 내용이 |
참으로 배울게 많다는 걸 느꼈다. 문재인 대통령님도 신영복선생님을 존경한다 하셨다. |
1968년부터 1988년까지 20여년 동안 꽃다운 나이를 감옥에서 보내며 |
가족들에게 쓴 편지는 정말 다 주옥같이 아름답다. |
이십대 후반부터 사십대 후반까지 감옥에서 보내느라 너무 분노스럽고 마음 다스리기가 |
쉽지 않았을텐데 끊임없이 자신을 다독이며 처한 상황에 최선을 다하신 신영복 선생님, |
진짜 너무 대단하시고 한편으로 이런 휼륭하신 분이 세상에 나와 할 일을 다하여 세상을 |
바로 잡으셔도 모자랄 판국에 억울하게 옥살이를 하게 만들다니..너무 안타까웠다.
|
여기 신영복 선생님이 어머니께 쓴 글이 인상깊어 적어보았다.
|
제가 어머니께 바라고 싶은 것은 젊은 사람한테 자꾸 배우시라는 것입니다. |
옛날 같지 않아 이제는 점점 젊어가는 노인이 되셔야 합니다. |
진정 젊어지는 비결은 젊은이들로부터 새로운 것을 배우는 길밖에 없는 것입니다.
|
또한 아파트로 이사간 부모님께는 이렇게 쓰셨다.
|
기업체 같은 고층 빌딩 속에서 대체 어떤 모양의 가정이 가능한 것인지, |
아버님께서는 수유리의 산보로를 잃고 |
어머님은 장독대를 잃어 갈 데 없이 TV할머니가 되지 않으시는지. |
생활의 편의와 이기들이 생산해내는 그 여유가 무엇을 위하여 소용되는지 |
그 수많은 층계, 싸늘한 돌 계단 하나하나의 '높이'가 |
실상 흙으로부터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이나 아닌지. |
생각은 사변의 날개를 달고 납니다.
|
그리고 형수님과 재수씨한테도 편지를 굉장히 많이 쓰셨는데 |
여기 형수님께 쓴 편지가 인상적이다.
|
그동안 '새시대'의 구호와 표어로 갈아붙이느라 몹시 바쁜 날들의 연속이였습니다. |
사다리를 올라가 높은 곳에서 일할때의 어려움은 무엇보다도 |
글씨가 바른지 삐뚤어졌는지를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
코끼리 앞에 선 장님의 막연함 같은 것입니다. |
저는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에게 부지런히 물어봄으로써 겨우 바른 글씨를 쓸 수 있었습니다. |
'푸른 과실이 햇빛을 마시고 제 속의 쓰고 신 물을 달고 향기로운 즙으로 만들 듯이' |
저도 이 가을에는 하루하루의 아픈 경험들을 양지바른 생각의 지붕에 널어, |
소중한 겨울의 양식으로 갈무리 하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