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하기 전, 엄마집에서 살 때 일요일 아침마다 들리는 소리가 있다. |
압력밥솥이 칙칙폭폭 돌아가는 소리, 도마에 대고 무언가 써는 소리, |
냉장고 문을 여닫는 소리, 가스렌지에서 무언가 끓이는 소리, 유리가 깔린 식탁위에 무언가 계속 놓는 소리, |
끊임없이 들리는 이 소리에도 안 깨고, 꿈을 꾸듯 침대 이불안에서 계속 뭉개고 있으면 |
어김없이 엄마의 고함 소리가 들려온다 |
'일어나 밥 먹으라고!' 한두번 소리치는데도 안 일어나면 갑자기 인신공격으로 바뀐다. |
예를 들면 '그렇게 게을러서 커서 뭐가 될래' '어디가서 밥이나 벌어먹고 살겠니' |
'엄마는 아침에 새벽같이 일어나서 청소하고 밥하고 이거하고 저거하고 다 했는데 |
넌 누굴 닮아 이 모양 이꼴이니.. ' 등등 |
이렇게 욕을 많이 먹고 겨우 일어나서 식탁앞에 앉아서도 적극적인 식사가 되지 않는다. |
잠에서 깬지 얼마 안 됐는데 밥 맛이 있을리가 없지. |
그러게 왜 자게 냅두지, 깨우냐고 엄마한테 짜증을 낸다. |
진짜 엄마 말대로라면 호강에 겨워 날라리가 났다. |
그렇게 귀한 밥상을 차릴 때 도와주지는 못할 망정 |
식탁앞에 앉아 세상 심드렁한 얼굴로 밥을 먹는둥 마는둥 하고 있으니 |
얼마나 내가 꼴보기 싫었을까. 그렇게 인신공격을 하는 것도 이제 이해가 간다. |
왜냐하면 이제 내가 엄마처럼 그 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
부엌에서 아침 만드는 소리뿐 아니라 잔소리까지 거의 똑같이 하고 있어서 |
가끔씩 나도 화들짝 놀랄 때가 있다. |
특히, 전자압력 밥솥이 예전 엄마의 밥솥과 똑같은 소리를 내며 돌아갈때는 소름이 끼쳤다.
|
엄마는 엄마 나름대로 스케쥴과 의무가 있다는 걸 이제야 안다. |
일단 가족들에게 아침을 먹여야 다른 일을 순조롭게 이어나갈 수 있으며, |
그 이후의 많은 할일들이 있다는 것도, 그 주된 임무는 아침 이후에 다가올 점심, 저녁식사를 준비하는것이 |
대표적이라서 조금 슬프기도 하지만. |
그래서, 일요일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사람이 엄마란 것을 알게 되었으며 |
엄마의 그 귀찮은 수고에 내가 삼시세끼 밥을 먹으며 잘 자랐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
그 당연한 것들을 감사한 줄 모르고 도리어 짜증으로 응대했으니 이런 불효가 없다. |
그래서 내가 내가족들에게 엄마와 같은 비슷한 희생을 하고 있는건지도 모르겠다. |
엄마에 대한 불효를 엄마에게 잘해야 하는데, 내 남편과 자식한테 하고 있으니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
아마도 엄마가 아침을 차린 것을 보고 자랐기 때문에 그렇게 해야 하는걸로 인식하는 것 같다.
|
내가 아침의 소리를 낼때 엄마가 생각난다. |
요즘은 좀 아프신 우리 엄마, |
더 이상 아프지 말아야 할텐데, |
내가 엄마집으로 찾아가 엄마의 소리를 내며 밥을 차려드리는 건 어떨까. |
그러면 엄마가 막 저리가라고 할 것 같은데, |
그냥 맛난 피자와 치킨을 사갈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