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후감

내 이름은 망고 - 추정경

 
요즘 우리집 청소년의 독서 습관을 위해 청소년 문학상 받은 작품을 자주 대여하고 있다.
으흑, 엄마의 눈물겨운 독서교육인가, 모르겠다.
폭력과 게임으로 난무하는 영상들을 보는 아이가 걱정되어
아날로그적 삶과 따뜻한 이야기를 전해주고 싶은 마음이랄까.
진짜 꼭 읽게 싶게 만드는 소설을 읽었다.
제 4회 청소년 창비문학상을 받은 추정경님의 '내 이름은 망고'
공간을 캄보디아로 넓혀 새로운 시각으로 아주 재미나고 재치있게 썼다.
가이드인 엄마을 대신해 17세 소녀가 캄보디아에서 가이드를 며칠동안 하는 이야기인데
굉장히 참신하고 즐겁게 잘 읽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엄마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았는데
지금의 늙고 아픈 엄마가 아닌 어릴적 내 세상의 전부였던 여리고 젊은 엄마,
그 때 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엄마가 없으면 나는 어떻게 될까' 를 상상해본 적이 있다.
그럴때마다 소스라치게 놀라며 그것은 정말 끔찍한 일이 될거라며, 난 엄마없이 하루도 못 산다며,
엄마가 있는 지금이 진짜 다행이다 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다들 그렇겠지만 그때 나의 엄마는 내 세상의 전부였고
엄마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불완전한 존재였던 것이다.
그렇게 회상하니, 지금의 나의 아이도 이런 심정일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엄마없이 밖으로 내쳐졌을때 진짜 아무것도 못하는 연약한 동물,
그래서 계속 엄마의 품으로 품으로 파고드는 것일까.
내가 이 아이를 품고 있는 동안은 최소한 이 곳은 안전하다라는 생각을 갖게 해주고
이 안정감을 발판 삼아 거친 세상으로 나갈 준비를 시켜주어야지.
나는 잘 할 수 있을까. 결국 내가 하는 게 아니라, 아이가 나아가는 것인데
그 첫발을 잘 뗄 수 있도록 내가 도와줘야지.
오늘도 어깨에 내려앉는 무게감으로 막대한 책임감을 느끼며.
또 하루가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