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우리 동네에 '자상한 시간'이라는 북카페를 찾아갔다. |
내가 생각한 이날의 일과는 여유롭게 책을 고르고, 차를 마시고, |
그러고 있으면 주인장님이 와서 나에게 질문을 하는거다. |
처음 왔냐? 어떻게 오게 되었냐? 어떤 책을 읽냐? 등을 물으시며 책도 추천해 주시고, |
우리 카페 이런 프로그램이 있는데 설명도 해주시고 등등 이런 그림을 그리며 갔다. |
그러나, 실제 방문한 카페는 사람이 너무 많고, 시끄럽고, 앉을 자리도 없고 |
주인장님은 내게 관심도 없고, 한마디로 내가 주목받을 만한 상황이 아니였다. |
아. 안타깝다. 왜 세상은 이렇게 내가 생각하는 그림과 항상 다르게 흘러가는 걸까. |
나 책 살 수 있는데, 차 마실 수 있는데, 년회원 될 수 있는데, 프로그램 참가할 수 있는데, |
그러나 현실은 하고 싶은 의욕과 다르게, 나의 마음과는 다르게 |
카페에 손님이건 주인이건 각자의 위치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
나는 그냥 그날의 그 북카페를 지나치는 손님중의 하나로 되어 버렸다. |
책 앞에 서서 아는 책도 만났고 모르는 책도 만났다. |
서서 책을 좀 뒤적거리기도 하고, 포스트잇으로 책을 추천한 내용도 읽으며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다가 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며 호기심 가득한 동작을 풍기며 |
주인장님이 나의 뒷 모습을 좀 보란듯이, 제발 좀 와서 말 좀 걸어라 하는 뒤태를 뿜었는데도 |
나의 신호는 먹히지 않았고 나는 쓸쓸히 돌아왔다. |
블로그에 나왔던 거와는 너무 다른 현실, |
친절한 주인장님 어쩌고 저쩌고와는 너무 다른, 전혀 자상하지 않은 시간, |
결론은 나랑 안 맞는 카페네, 이런 마음을 안고 친구 편의점에 가서 북카페에 대한 실망감을 토로하고 왔다. |
그런데, 사실 이런 경험은 누구나 자주 하는 경험이다. |
옷을 사러 가서도 그렇고, 기타 다른 물건을 사러 가서도 흔히 겪는 일이기도 하다. |
소극적인 소비 경향을 나타낼 때 흔히 겪는 일상이다. |
그래서 뭔가 확실하고 절실하게 사고 싶거나 원할때는 내가 적극적이 되어야 한다. |
북카페 주인장한테 가서 먼저 묻거나 알아보는 행위가 필요한 것인데, |
또 생각해보면 내가 소비자인데 왜 내가 먼저 다가가 그렇게 해야 되나 라는 생각도 들고 |
암튼 이렇게 궁시렁 되는것도 웃기다. |
그래서 난 다음주에 다른 독립서점을 방문하기로 했다. |
'자상한 시간'에서 자상함을 받지 못하고 외면 당한 것을 경험 삼아 |
다른 독립서점에서는 독립적으로 원하는 것을 말하고, 사고, 기회되면 차도 마시고 그 이상의 것도 할 생각이다. |
그런데, 참 별거 아닌 북카페 방문에서의 실망감이 아직은 어린 나를 반영하는 것 같은 느낌이다. |
나 아직도 수줍은 어른인가봐. |
소소한 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