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세고에 겐사쿠'의 제자이자, '이창호 9단' 의 스승인 조훈현 바둑기사님, |
책을 읽는데, 마치 숨한번 제대로 쉴 수 없는 긴장감과 몰입도가 엄청나다. |
구단들은 이렇게 어릴때 부터 스승님 집에 기거하며, 인성을 배우며 바둑을 배운단다. |
일반인의 삶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라 놀랍고 경이로왔다. |
특히, 놀랐던 것은 경기가 끝나고 '복기'라는 것을 한다는 것이다. |
복기란 두었던 바둑을 처음부터 다시 두는 것을 뜻한다. |
승리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는 습관을 만들어 주고 |
패자한 대국의 복기는 패배의 원인을 알아가며 이기는 준비를 만들어준다고 한다. |
복기에 관하여 이런 말씀을 하셨다. |
복기의 의미는 성찰과 자기반성이다. |
이것은 깊이 있는 생각을 바탕으로 하며 겸손과 인내를 요구한다. |
아플수록 뚫어지게 바라봐야 한다. |
아니 아플수록 더욱 예민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
실수는 우연이 아니다. |
실수를 한다는 건, 내안에 그런 어설픔과 미숙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또 이런 말씀도 하셨다. |
근성이란 바로 생각이다. 해결할 수 있다는 긍정성. |
반드시 해결해야겠다는 의지. 그리고 해결 방밥을 모색하는 데에 필요한 |
모든 지식과 상식, 체계적인 사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개념을 나는 '생각'이라고 부르고 싶다. |
사람들은 행복이 돈이나 명예, 성공에서 온다고 생각한다. |
하지만 나는 진짜 행복은 단단한 자아에서 온다고 믿는다. |
자아는 자존감이다. |
자아가 단단하면 어떤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는다. |
남들의 시선이나 사회적 잣대에 휘둘리지 않고 신념대로 행동한다. |
가장 가난한 부모는 돈이 없는 부모가 아니라, 물려줄 정신세계가 없는 부모다. |
나의 자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아이에게 어떤 부모인지도 생각해보게 하는 |
좋은 책이었다. |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서티브[남들보다 민감한 사람을 위한 섬세한 심리학] 일자 샌드 (0) | 2020.01.29 |
---|---|
'바닷가 작업실에서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 김정운 (0) | 2020.01.22 |
'사기병' 윤지회 (0) | 2020.01.15 |
'쓸만한 인간' 박정민 (0) | 2020.01.15 |
'내게 무해한 사람' 최은영 (0) | 2020.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