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그릇 - 김윤나
|
김윤나 작가님은 심리학도 전공하셨는데 이런 무서운 말도 하였다.
|
감정은 '정확한 것' 보다는 '익숙한 것'을 좋아한다. |
살면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해보지 못했거나 억누르거나 |
조종당해온 사람일수록 낯선 감정을 불편하게 여겨 빨리 벗어나고 싶어 한다. |
오랫동안 '희망'을 느껴본 적이 없던 사람이 '기대와 기쁨'을 누리지 못하고 |
어린 시절 '불안'에 익숙했던 사람이 '고요함과 안락함'을 견디지 못하는 것처럼, |
아무리 좋은 감정들이라 할지라도 익숙하지 않으면 무시하려고 한다.
|
정말 무섭지 않은가. 기뻐도 익숙한 감정을 기억해 그 불안의 감정으로 간다는 것, |
익숙함에서 탈피해 긍정적이고 좋은 경험을 많이 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
주변에 불평 불만이 많은 사람들에게 하는 대화법도 일러주셨다. |
예를 들면 |
" 나이 먹고 공부하려니까 힘들어서 못해 먹겠어. |
대학원 준비하는게 이렇게 고된 일인 줄 몰랐네. |
서류도 많고, 필기 시험에, 내가 보는 대학원은 면접도 엄청 까다롭대. 그만 둬야 할까봐 " |
이렇게 말하는 친구에게 작가님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
"그래, 준비할 게 많구나, 그렇지만 너는 그 어려운 과정을 다 잘해내고 싶은 거지 ? " |
그러자 갑자기 친구의 입에서 전혀 다른 말이 쏟아져 나왔다고 한다. |
대학원 입학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인지, 그동안 얼마나 준비를 열심히 해왔는지 친구는 신이나서 |
설명하고 "못하겠다"는 말은 이미 온데간데 없었다고 한다. |
이 일화를 읽으면서 내 친구 혜영이가 관광통역안내사를 준비하면서 힘듬을 토로할 때 |
좀 더 따뜻하게 응해주지 못한게 마음에 걸렸다. |
말은 참 하기 나름인 거 같다. |
잘 말해서 좋은 결과를 이끌수도, 기운을 뺄 수도 있다는 게 참으로 놀라운 말의 위력인 것 같다. |
잘 말하고 사람들과 잘 지내고 행복해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