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일상

짜장면과 짬뽕

나는 편견 덩어리
짜장면을 먹는 아이보다 짬뽕을 즐겨먹는 아이가 머리가 좋다고 생각한다.
보통의 아이들은 짜장면을 즐겨 먹는 반면, 
짬뽕을 먹는 아이는 짜장면 맛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짬뽕을 선택한다는 것은 굉장히 창의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짬뽕을 먹는 아이는 대체로 짜장면 맛을 알지만
짜장면을 먹는 아이는 짬뽕의 맛을 안다는게 희박하다.
실제로 우리 아이 4학년때 반 아이들 대부분을 초대해서 짜장, 짬뽕 주문을 받아보았다.
짬뽕과 짜장이 1:3 비율 정도로 나왔는데
짬뽕을 시킨 아이들을 가만히 살펴 보니, 공부를 잘하고, 창의적이며, 
자신의 일에 주도적이며, 자존감이 높고, 논리적으로 자기 의견을 관철시키는 타입이였다.
이것은 극히 일부 사례이긴 하나, 나의 짜장과 짬뽕 편견에 마침표를 찍어 주었다.
그러나, 나는 여전히 짬뽕보다 짜장면을 좋아하며, 짬뽕의 깊은 맛을 알지 못한다.
그래서, 중국집에서 짜장면과 짬뽕의 기로에 서서 고민하는 일도 거의 없다.
짬짜면이 나왔을때도 짬짜면을 시키기 보다는 탕짜를 시켜 먹곤 했으니깐.
내가 평범하긴 하나, 그렇다고 내가 공부를 못하며, 창의적이지 못하고 
자신의 일에 비주도적이며, 자존감이 낮고, 비논리적으로 내 의견을 관철시키지 못하는
사람은 아니다.
짜장면보다 짬뽕을 먹는 사람들이 위의 열거한 것처럼 대체로 그렇다는 것이다.
짬뽕을 먹는다고 그렇게 된다면 아마 너도 나도 짬뽕먹고 시험도 잘 보고 그러겠지. 
중요한 것은 내가 먹는 짜장이나 짬뽕이 그냥 맛나면 되는 것이다.
기호와 취향의 문제를 나의 생각과 경험에 기대어 
아무도 모르게 편견의 속내를 한 번 드러내보았다.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경희  (0) 2019.05.29
지문  (0) 2019.05.27
삶의 의미  (0) 2019.05.07
책을 읽는다는 것  (0) 2019.05.03
스트레스를 덜 받는 방법  (0) 2019.04.16